Tag Archives: 파동수

6 송과체가 갖고 있을 것 같은 기능

몸 안에 들어온 물질에 대응하는 우리 몸의 면역체계는 센서 세포가 혈관 내의 물질에 대해 판단하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하지만 외부에 존재하는 물질이 우리 몸에 주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직접 물질적으로 접촉되기 이전에 그 성질을 파악해야 한다. 그러려면 그 물질이 내는 에너지(파동)의 패턴을 가지고 판단하는 수밖에 없다. 물질은 거리를 극복할 수 없지만 파동은 먼 거리도 순식간에 커버하며, 심지어는 물질적 장벽을 뚫고 들어오는 성질의 파동도 무수히 존재하기 때문이다.

.
송과체는 외부에 존재하면서 우리에게 영향을 주는 물질에 대응하는 데 있어서, 마치 센서 세포가 면역기능에서 하는 것 같은 일을 담당하고 있는 게 아닐까? 구강에서 바로 송과체로, 혹은 제3의 눈, 즉 미간의 위치로부터 바로 송과체로 파동이 전달되어 거기서 그 대상이 우리 몸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판별되는 건 아닐까? 음식이 입에 들어가는 순간, 혹은 새로운 자극이 주어지는 순간 송과체가 활성화된다는 사실은 이런 추정을 정당화하는 것 같다.

.
만일 그렇다면, 마치 센서세포가 혈관 안에서 수상한 물질을 만나면 다른 세포들에게 알려 대응을 하게 만들 듯이, 송과체도 그렇게 행동개시를 지시할 협력기관이 필요할 것이다. 거기 아주 적합한 후보자가 바로 시상하부일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앞서 보았듯이 시상하부는 좀 더 앞쪽으로, 온 몸의 신경계와 연계되는 위치에 있다. 원래 사령탑은 좀 더 안전한 후방으로 있고, 행동대원은 현장에 있는 법이다.

6 송과체와 시상하부
그렇다면 송과체는 눈으로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는, 인체에서 가장 중요한 기관이라는 동서고금의 기록에 어느 정도 상응하는 설명이 된다. 물론 송과체의 기능은 시상하부와의 밀접한 협동 속에서만 의미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옛날의 가르침에서는 이 두 가지를 한꺼번에 묶어 중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
동양의학에서 말하는 ‘상단전’이 그랬고, 이집트 벽화에서 파워와 능력을 상징하는 ‘호루스의 눈’이 그랬다. 미라를 만드느라 해부경험이 많았을 이집트에서 숭상했던 ‘호루스의 눈’은 송과체와 시상하부가 있는 뇌의 중심부를 해부학적으로 본 모양과 사실적으로 많이 닮아 있다.

.
송과체와 시상하부의 협동이 아주 잘 일어나는 사람이라면, 눈으로 보거나 심지어 스스로 의식하지도 못한 일들에 대해 순간순간 올바른 판단을 해갈 수 있기 때문에, 큰 실수를 하는 일이 없게 되고 따라서 아주 성공적인 삶을 살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때문에 제3의 눈이 이 지상의 파워에서 영적 능력까지 상징하게 되었을 수도 있다.

.
나는 신비주의자가 아니다. 인간과 세상에 대해 일어나는 일이라면, 어느 것이든 합리적인 설명이 가능하다고 믿는다. 사실fact에 대한 충분한 정보와, 새로운 패러다임을 받아들일 수 있는 열린 마음이 있다면.

.
나는 전문적 과학자도 아니다. 이걸 새로운 발견이라고 주장하고 싶은 건 아니다. 하지만 나는 과학적 사고를 하도록 기초 교육을 받은 사람이다. 이런 관련의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볼 수는 있다.

.
이렇게 설명하면 송과체에 대한 과거로부터의 많은 기록들이 말하는 사실과 부합되는 것을 보니까 참 재미있다.

2 에모토 마사루의 육각수

어떤 물은 얼음 상태에서 정연한 육각형의 구조를 이룬다는 것은 과학자들이 진작에 알고 있었지만, 이 과학적 발견의 의미를 우리의 삶과 처음, 그리고 대단히 성공적으로 연결시켰던 것은 에모토 마사루라고 하는 일본의 저술가였다. 2014년 71세의 나이로 작고하기까지 세계의 평화와 세계인의 건강한 삶을 위해 노력한 그는 아름다운 물의 결정체 모습을 담은 많은 저서를 남겼는데, <물은 답을 알고 있다>가 가장 널리 알려진 책이다. 그가 한 말의 핵심은 이런 것이다.

.
이 세상의 모든 사물은 눈에 보이는 것이든 보이지 않는 것이든, 진동을 하며 파동과 같은 형태로 전달되는 데 물은 그 전달의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이것은 물이 정보를 담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인데, 이 구조는 어떤 정보에 접하느냐에 따라 정연하고 아름다운 육각형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깨져서 불규칙하거나 심한 경우 보기에도 흉한 모습으로도 나타난다는 것이다.

.
정연하고 아름다운 구조를 갖추는 경우는 주변 환경이 잘 보전된 건강한 생태계일 때, 모차르트나 베토벤의 음악 등 오랜 세월동안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온 명곡이 흘러나오는 환경일 때, 물을 향해 간절한 마음을 담아 기도를 해주었을 때, 물을 대하는 사람의 의식이나 언어가 ‘사랑’, ‘감사’, ‘행복’, ‘함께 함’ 등의 긍정적인 뜻을 담고 있을 때이다.

.
불규칙하고 보기 흉한 구조가 되는 경우는 물이 오염되었을 때, 도시 수도관을 통해 나온 물일 때, 시끄러운 음악을 들려주었을 때, 물을 향한 사람의 의식이나 언어가 욕, 금지 명령, 짜증, 분노 등 부정적인 뜻을 담고 있을 때이다.

.
재미있는 것은 이렇게 긍정적 혹은 부정적 의미의 단어를 써서 물병에 붙여 놓았다가 현미경으로 들여다보기만 해도, 그 말을 해준 것과 같은 효과를 내고, 말을 하지 않고 물을 앞에 두고 속으로 생각만 해도 그 뜻에 맞게 물의 결정체가 모양이 바뀐다는 것이다. 몇 가지 사진을 통해서 확인해보자.

.
물병에 ‘고맙습니다’라고 써서 붙인 후 현미경으로 본 물의 결정

2 감사라는 단어 보여준 물2 감사 물 결정체

‘멍청한 놈’이라고 써서 붙인 후 현미경으로 본 물의 결정

2 바보라는 단어 보여준 물2 바보 물 결정체

사랑·감사를 함께 쓴 경우

2 사랑 감사 결정체

모차르트의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 뮤직>을 들려주었을 때

2 모짜르트
관심 있는 분은 인터넷에서 ‘에모토 마사루’ Emoto Masaru, 혹은 ‘물은 답을 알고 있다’ Water knows the answer로 검색해보시면, 흥미로운 내용을 많이 찾으실 수 있을 것이다.

.
에모토 마사루는 대안적 치료에 관심을 갖고, 물에 좋은 파동을 넣어 만든 파동수로 사람들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후 여러 가지로 실험해보다가 이런 발견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의 결론은 명확하다.

.
“저는 이 모든 것의 뿌리에 ‘어머니인 대자연’이 놓여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머니인 대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것은 아름다운 육각형의 구조로 나타나며, 그렇지 않은 것은 그런 구조를 갖지 못합니다. 아마도 이것이 물이 우리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아닐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