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네팔 지진, 칼부코 화산… 한반도 지진까지?

이야기의 흐름 상, 이번 포스팅에서는 과거에 지구가 어떤 변화과정을 거쳐 왔는지 개관해야 할 테다. 하지만 계획을 바꾸어서 여기서 지구변동 이야기를 좀 더 자세하게 하려 한다. 이 지구변동 관련 포스팅들은 <지구변화 바라보기와 생각하기> 카테고리 밑에도 두려 한다.

.
그저께 저녁 뉴스의 화면은 4월 26일 발생한 네팔 지진의 피해가 커져가는 참상을 보여주고, 이어서 4월 23일 폭발한 칠레 칼부코 화산으로 인해 이어지는 피해와 주민의 불안감을 보여주었다. 나의 예상으론, 그 다음에 왜 이렇게 요즘엔 자연재해가 잦은가? 하는 문제에 대해 좀 더 분석을 할 줄 알았다. 하지만 이에 대한 TV 보도는 그렇게 참상을 보여주는 것으로 끝났다.

.
자연재해에 대한 요즘 한국 매스컴의 태도는 (그리고 다 그런 건 아니지만 미국을 비롯한 많은 선진국 매스컴의 태도는) 근대기 서구가 자연에 대해 반응했던 것과 시종 같은 패턴을 보여준다. 자연을 ‘정복’했다고 떠들든지, 인간이 자연을 망치고 있다고 하여, 특정 집단을 비난하든지, 아니면 최소한의 보도를 하고 나서 아예 논의를 피하든지.

.
하지만 내 생각엔 이렇게 할 문제가 아니다. 자연이 아무리 인간으로서 이해하지 못할 상태를 보인다 하더라도, 좀 더 근본적으로 분석해서 자연의 움직임을 이해하고, 그런 자연 속에서 살아갈 방도를 찾아야 한다.

.
지금 원래 지각활동이 활발했던 지역은 말할 것도 없고, 그동안 비교적 안전한 지대였던 우리나라와 같은 곳에서도 백두산 폭발이 임박해 있고, 동·서해 연안에 지진이 발생하는 등, 지각활동 및 그로 인한 자연재해의 발생이 점점 더 심해진다는 것을 뚜렷이 느낄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런 예상치 못했던 자연재해가 언제 닥칠지 모른다는 불안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지역이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날 저녁 뉴스에서도, 네팔 지진 참상을 보여주고 난 다음, 그 여파가 중국에 미칠지 모르는 불안감을 말하는 중국 지진 전문가의 코멘트를 보여주었다.

.
인간은 어떤 것에 대해 잘 모르면, 그 대상에 대한 공포감을 더 크게 느끼게 된다. 지구상에 사는 우리들은 이제 이 문제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마침 이 문제는 21세기의 영성을 논하기 위해 지구를 환경역사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이 글의 논지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
앞서 그래프에서도 보았지만, 지구 전체가 사회적으로나 자연적으로나 엄청난 가속적 변화의 시기에 들어가 있다. 이런 점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 표면 밑의 구조인 지각판의 운동에 관해서도 예외가 아니다. 아니 그보다는, 지구생명권의 근간을 이루는 지각구조 자체가 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그 위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들에 비슷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는 게 더 맞는지도 모른다. 다음 그래프들을 보자.

4 지각활동에 따른 자연재해

왼쪽은 1974년부터 현재까지, 진도 4이상의 지진이 일어난 추이에 비추어 2047년까지 예측한 그래프다. 가운데는 강도별로 화산 발생 추이를 1900년부터 2000년까지 보여주고 있는데, 제일 위쪽 자주색 부분이 화산 발생 총계이다. 오른쪽은 1900년부터 2004년까지 자연재해 발생 추이를 보여주는데, 붉은 부분은 지진·해일·화산폭발을 포함한 자연재해 총계, 파란 부분은 태풍, 토네이도 등 풍해에 관한 총계를 보여준다.

.
위 그래프에서 녹색 사각형으로 둘러싼 부분이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추이다. 이것을 이렇게 비교해보자.

4 지구변동 비교

거의 정확하게 지각활동, 즉 지구의 보다 근본적인 시스템에서 일어나는 동요와 같은 모양으로 인간 사회도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지진에 대한 2047년까지의 예측을 보여주는 그래프에서, 이런 추세는 앞으로 한동안 더욱 심해져갈 것이라는 것도 알 수 있다.

.
왜 이런 변화가 생기는 걸까?
그것은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할까?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