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면역시스템

5 송과체와 시상하부

끊임없이 변화해가는 환경 속에서 우리 몸을 지키기 위해, 365일 24시간 쉬지 않고 돌아가는 면역 시스템, 그 기본은 어떤 대상이 나에게 도움이 되는 것인지 해가 되는 것인지 판단하는 일이라는 걸 알았다. 그런데 면역 시스템이 작동하는 것은 일단 어떤 물질이 우리 몸 안에 들어왔을 때, 즉 혈관을 떠돌다가 센서세포에게 들켰을 때부터 시작된다.

.
이걸로 충분할까? 우리 몸 바깥에 있는 대상에 대해 우리의 세포들이 판단할 필요는 없는 걸까?
당연히 있을 것이다. 우선 우리의 의식이 이 부분에 대해서 작용하는 것은 분명하다. 우리는 어떤 대상이 어쩐지 기분이 안 좋다고 생각하면 그 대상을 피한다. 반대로 어쩐지 마음에 들면 접근한다. 그것이 어떤 장소든, 사람이든 마찬가지다.

.
하지만 우리는 생각하지 않아도 자기도 모르게 특정 대상에 대한 구별 행동을 하기도 한다. 음식에 대한 판단도 그런 경우가 많다. 어떤 음식은 입에 갖다 대는 순간 바로 뱉게 된다. “이 음식은 맛없는 거 보니까 내 몸에 맞지 않는 것 같다. 뱉어버려야지!”하고 생각할 새도 없이. 또는 어떤 장소에 갔을 때 그 장소가 쾌적하면, ‘아 여기 쾌적하다. 좀 더 있어야지’하는 생각이 들지 않아도 그냥 거기 더 오래 머물러 있게 된다.

.
이런 구별에는 시각적인 측면도 있다. 우리는 눈으로 보기 좋은 것에는 자동적으로 이끌리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시각적인 것과 상관없는 측면도 있다. 대표적인 게 음식. 아무리 보기에 먹음직해보여도 맛없는 건 맛이 없다. 혹은 아주 예쁘게 꾸며 새로 오픈한 찻집에 들어갈 때는 “어머, 여기 예쁘다. 여기서 차 마시자” 하고 들어갔다가도 좀 앉아 있으면 온 몸이 긴장되며 불편해질 수 있다. 그러면 의식적으로 “예쁜 줄 알았는데 불편하네. 뭔가 안 좋은 요소가 있나보다, 나가자!”하고 생각하기보다는 그저 왠지 나가고 싶어, 적당한 핑계거리만 있으면 나가게 된다.

.
그렇다면 이런 판단과, 또 거기 따른 행동에 대한 지시는 어디서 하는 것일까? 일단 우리가 맛을 느끼게 하는 식욕중추와, 뭔가를 좋아하게 만드는 쾌감 호르몬, 혹은 싫어서 기피하게 만드는 투쟁-도피 호르몬이 만들어지는 곳은 뇌과학에서 밝혀져 있다. 그것은 ‘시상하부’라고 불리는 부분이다.

5 시상하부와 송과체

시상하부는 송과체와 마찬가지로 원시뇌의 일부로 송과체 바로 앞 쪽에 존재한다. 쾌감 호르몬인 도파민, 옥시토신 등을 생성할 뿐 아니라 투쟁-도피 호르몬인 아드레날린 분비를 조절한다. 뿐만 아니라 전반적으로 뇌의 기능을 신경계에 연결시켜, 온 몸의 작용이 일어나게 해주는 중요한 위치에 있다. 이에 따라 음식 섭취, 성적 욕구 및 행동, 체온 유지, 음식에 대한 느낌과 행동, 수면과 휴식에 대한 느낌과 행동, 바이오리듬 조절 등 우리의 생명과정에서 가장 기초적인 작용들에 거의 다 관여한다.

.
하지만 송과체에 대해서는 멜라토닌 호르몬과 약간의 신경전달물질을 생성한다는 것 외에는 거의 밝혀져 있지 않다. 위치로 보아서는 송과체가 시상하부보다 더 안전한 곳, 더욱 핵심적인 곳에 있어서, 뭔가 그런 역할을 할 것 같은데 말이다. 왜 그럴까?

.
혹시 송과체가 하는 일이 시상하부와는 달리 물질적인 차원으로 잘 표현되지 않아서가 아닐까? 만일 송과체가 파동으로 대상을 식별한다면, 물질적 해부학에 뿌리를 두고 있는 현대 의과학은 이를 잘 포착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제는 상당히 밝혀진 ‘경락’의 경우에서처럼 말이다.

(이에 대해서는 따로 포스팅)